등록인etnews
등록/수정일09.01.05 / 09.01.05
문서분량1 페이지
다운로드0
구매평가
판매가격300원
"모바일 인터넷 강국 콘텐츠에 달렸다"
‘모바일인터넷 강국, 콘텐츠가 만든다.’
휴대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 발전이 모바일인터넷 활성화의 선결 과제로 떠올랐다. 국내 모바일인터넷 시장은 단말 소지 가입자가 4285만8526명(2008년 11월 말 현재)으로 사실상 이미 ‘1인 1모바일 단말’ 시대가 열렸고 3세대(G) 네트워크 구축이 완료되면서 속도 측면에서도 문제가 없다. 하지만 부실한 콘텐츠로 인해 이동통신사의 모바일인터넷 매출이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는 등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오는 2012년 498억200만달러 규모 시장이 예상되는 ‘알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계와 정부의 발빠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쓸 만한’ 콘텐츠를 키우자=모바일인터넷 활성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이유는 이용할 만한 콘텐츠가 없다는 점이다. 콘텐츠 부족 현상은 모바일인터넷 서비스의 진입 장벽과 금융 당국의 규제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국내 모바일인터넷의 두 방식인 ‘왑’(이통사별로 구축한 폐쇄형 모바일인터넷)과 ‘웹’(기존 유선인터넷을 모바일기기로 확장한 인터넷)이 당분간 동반 발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왑의 발전이 가로막힌 원인은 이통사의 망 개방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에선 콘텐츠프로바이더(CP)의 차별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망 개방을 권고했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하다는 게 CP업계의 생각이다.
CP업계 관계자는 “이통사가 모바일인터넷 망을 개방했다고 하지만 이통사 API를 거쳐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아직 제한적”이라며 “일본처럼 이통사는 망만 빌려주고 CP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털 등 인터넷 서비스업체의 변화도 촉구된다. 현재 모바일에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포털은 파란과 다음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플래시 등을 필요 이상으로 활용하는 ‘무거운 사이트’로 유선 사이트 그대로 모바일 기기에서 보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제도 개선도 필수=제도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인터넷 서비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 거래·쇼핑 등은 모바일인터넷상에서 불가능하다.
금융결제원에서 인터넷 결제에 필수사항으로 요구하고 있는 ‘공인인증서’ 발급 과정에서 ‘액티브X’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액티브X는 마이크로소프트 중심의 비표준 방식 웹 기술로 모바일인터넷에서는 내려받기를 할 수 없다. 액티브X는 리눅스·파이어폭스 등 MS 계열 외 운용체계(OS)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해 문제로 지적돼왔다. 까다로운 모바일인터넷 콘텐츠 심의 역시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다.
이승윤 전자통신연구원(ETRI) 표준연구센터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책임연구원은 “모바일인터넷에서 액티브X 대신 활용할 수 있는 여러 보안 솔루션이 이미 개발돼 있다”면서 “액티브X 외의 기술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 당국이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지혜기자 gotit@etnews.co.kr
구매평가 기록이 없습니다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
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
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
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